만불사 홈 > 사찰안내 > 만불산
백두대간(白頭大幹)은 백두산에서 시작해서 동쪽 해안선을 따라 남쪽으로 흐르다가 태백산 부근에서 서쪽으로 기울어 남쪽 내륙 지리산에서 마무리되는 한반도의 등줄기이다.
백두대간에서 갈라진 산줄기를 정맥이라고 하는데, 만불산은 백두대간의 13개 정맥 중 낙동정맥에 속해 있다.
낙동정맥은 태백시 구봉산에서 시작해, 백병산, 백령산, 주왕산, 주사산, 사룡산, 만불산, 단석산, 가지산, 취서산, 원적산, 금 정산 등을 거쳐 부산 다대포 몰운대에서 마무리되는 산맥이다.
따라서 만불산은 백두산의 정기를 이어받은 영산(靈山)이라 할 수 있다.
백두산(白頭山)을 우리말로 풀이하면 ‘흰머리산’인데, 산 정상에 항상 눈이 덮여 있기 때문에 그렇게 불린다. 백두산의 우리말 이름은 ‘히머리산’, ‘히마리산’, ‘히 마리야산’이다. ‘히마리야’를 영어로 표기하면 ‘Himalya’가 되고 이것을 발음하면 ‘히말리야’가 되는데, 이것이 전음이 되어 ‘히말라야’가 된다.
히말라야산은 ‘부처님이 깨달음을 이룬 영산’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불교경전에서는 흔히 히말라야산을 ‘설산(雪山)’이라고 지칭한다. 이처럼 백두산은 설산(히말라야산)과 상통하는 신령한 산이라고 할 수 있으며, 백 두산의 정기를 이어받은 만불산 또한 부처님이 6년 고행 끝에 깨달음을 이룬 히말 라야(설산)의 정기가 서린 ‘영산(靈山)’이라 할 수 있다.
만불산(萬佛山)은 역사적으로도 유서 깊은 산이다. 《삼국유사》탑상(塔像) 편 ‘사불산 굴불산 만불산’ 조에 보면 ‘만불산’에 대한 기 사가 나온다.
신라 경덕왕은 당 대종이 불교를 숭상한다는 말을 듣고 크게는 사방 한 치, 작게는 8~9푼에 불과한 만 분의 부처님을 모신 1장(丈, 약 3m) 높이의 가산(假山)을 만들어 보냈다. 이 만불산은 바위와 동굴로 각 구역을 나누고, 각 구역 안에 사람들이 노 래하고 춤추고 노는 모습과 온갖 나라의 산천을 조성했다고 한다. 또 누각과 전각, 종각 등을 조성해 놓았는데, 바람이 불면 종이 울리고 1,000여 명의 스님상이 모두 엎드려 절하도록 장치했다 고 한다. 만불산을 전해 받은 당 대종은 그 정교함에 놀라 “신라의 교묘한 기술은 하늘이 만든 것이지 사람의 기술이 아니다”며 감탄했다고 한다. 대종은 만불산을 내도량(內道場)에서 봉안한 뒤 스님들에게 예배토록 했다고 한다. 이처럼 만불산은 신라 불교문화의 우수성과 깊은 신앙심을 상징하는 산이었다. 경덕왕이 당 대종에게 보낸 ‘만불산’에 1만 부처님이 모셔진 것과 같이 영천 만불산에는 20만 분 이상의 부처님이 봉안돼 불 자들의 찬탄과 예배, 신행의 대상이 되고 있다.
 
中國 日本 English